체력도 맞춤형 시대…국민체력인증 6등급 체계 도입

0
27

“나의 체력은 몇 등급?” 국민체력 인증 6등급 체계로 확대 시행

– 체력인증 세분화로 정밀 운동 처방 가능… 체력 소외자도 ‘맞춤 처방’ 기대
– 전국 75개 체력인증센터에서 무료 측정 및 상담 제공


2025년 6월 2일부터는 자신의 체력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받고, 맞춤형 운동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사장 하형주)은 체력 인증 체계를 기존 3등급에서 6등급으로 세분화해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체력인증의 등급별 기준과 절차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민체력100’ 사업은 전국 75개의 국민체력인증센터에서 운영되는 무료 체력 측정 및 운동 처방 서비스로, 국민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에는 측정 결과에 따라 상위 70% 이상인 경우에만 1~3등급의 체력인증서를 받을 수 있었으며, 나머지 약 60%는 등급 외로 분류돼 운동 처방의 활용도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문체부는 체력인증의 신뢰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성인·청소년·노인 등 모든 연령층에 대해 6단계 등급 체계로 확대하고, 평가 기준도 완화했다. 예컨대, 기존에는 근력·근지구력·심폐지구력·유연성 모두가 상위 70% 이내여야 등급이 부여됐으나, 앞으로는 주요 항목 중 일부만 상위 70% 이상이면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이 바뀐다.

이번 개정안에는 신분증 확인 절차의 의무화, 체질량지수(BMI) 및 체지방률 기준의 과학적 기준 정비, 백분위 표기 방식의 개선 등도 포함돼 체력 측정 결과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와 신뢰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문체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기존 ‘등급 외’로 소외됐던 국민들도 보다 정확한 체력 진단과 운동 지도를 받을 수 있어 운동 초보자와 체력 약자들의 체력 증진 참여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민체력인증센터의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국민체력측정통계’의 활용도 또한 의료·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정밀한 등급 구분을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현실적인 운동 처방이 가능해졌다”며 “국민 누구나 체력인증센터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체력측정 인프라 확대와 서비스 품질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회신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